본문 바로가기

세상 바라보는 시선 👁

그래도 2021년 출생아수 25만명은 넘겼네요. 다들 10년 후 미래 준비하고 계시죠?


국가를 위해서 출산을 장려한다? 요즘 같은 시대에는 진짜 말도 안되는 일이죠. 그런데 출산 통계를 계속 들여다보는 이유는 우리가 어떤 준비를 해야할지 고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산부인과 의사 뿐만 아니라 2022년을 살아가는 한 명의 사람으로서 말이죠.

2021년 11월까지의 인구동향이 1월 26일자로 발표되었는데, 통계자료는 너무 뻔합니다. 출생아수 감소, 사망자수 증가, 혼인 건수 감소 그리고 혼인 건수 감소에 의한 이혼건수 감소도 역시 예상할 수 있는 정도입니다. 지금 결혼하는 85~95년 생이 70만명 전후로 태어났었으니, 80~100만명씩 태어난 전 세대보다는 감소하는 것이 당연하죠.

2020년~2030년까지는 세상에 큰 이변이 발생하지 않고 합계출산율이 1을 넘어가지 않는다면 35만명(70만 ÷ 2 (남/녀)) 이상으로는 절대 증가할 수 없겠습니다. 그리고 2030년 이후는 20만명 이상을 절대 넘어설 수 없겠지요.

합계출산율 : 한 여자가 가임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한다.

통계를 들여다보면, 2021년 11월까지의 누적 출생아수는 24.4만명입니다. 최종 12월까지의 통계가 나와야 언론에서 빵빵 터트릴텐데, 아직 11월 통계까지만 나와서 아무런 기사가 안 나오고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모두가 코로나에 정신이 팔려있기도 하구요.

12월은 늘 11월보다 출생아수가 적습니다.

매년 감소하는 것은 당연하고, 과거의 경험을 비추어 보면 12월 출생아수는 11월보다 적으니 최대 19800명, 최소 16000명 정도가 12월에 출산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겠습니다. 11월까지 누적 24.4만명에 19800명이 출산하였다고 가정을 하면 26.4만명이 될 것이고, 1.6만명 정도 출산을 하였다고 가정하면 2021년 전체 출생아수는 대략 26만명의 출생아가 태어나게 되겠습니다.

2020년부터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되었습니다. 즉, 출생아수보다 사망자수가 많다는 뜻인데요. 사망자수의 경우에도 11월 보다는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는 편이므로 3만명 정도의 사망자가 발생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데요. 2021년 11월까지의 누적 사망자수는 28.5만명에 더해보면 2021년 사망자수를 추정할 수 있겠습니다. 31.5만명을 넘어갈 것이다라고 간단하게 계산이 됩니다. 그렇죠? 아주 쉬운 덧셈입니다.

 
 
출생아수
사망자수
2019
302,676명
295,110명
2020
272,337명
304,948명
2021
26만명(추정)
31.5만명(추정)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할까요. 참 어렵고 늘 고민이 됩니다.

의사이자 사업자로서 어떻게 해야할 지 늘 고민입니다.

OECD 주요국 임상의사수는 1000명당 3.4명인데 대비하여 우리나라는 2.4명이니깐 의사수가 더 필요하다. 충분히 동의할 수 있는 말입니다. 그리고 지방에 의사 및 의료진 부족은 명백한 사실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26.4만명이 태어나고 합계출산율이 0.84인 상황에서 3000~4000명씩 의사가 배출되는 이 상황 정말 괜찮은건가요?  3천명 / 26.4만명이면 의사가 한해마다 출생아 수의 1.13%에 해당이 됩니다. 태어나는 아이들의 1.13%는 의사가 되는 것입니다. 

한국에 있는 직업 분류표에 의하면 10000개 이상의 직업분류가 있는데, 그 중에 하나의 직종이 1%를 차지한다라. 아주 놀라운 일입니다. 그리고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치기공사, 응급구조사 등 병원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포함하면 병원과 관계된 직종이 아주 많은 분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정부가 어떻게 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의대 정원은 어떤 정부가 들어오든 늘릴려고 하는 듯 합니다. 의과학자들과 지역 의사들의 감소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데요. 지역에 강제로 배치할 수도 있고, 의과학자를 하라고 할 수도 없는데 마냥 숫자를 늘리면 문제가 해결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의대를 가고 싶어하는 부모님들에겐 아주 반가운 소식인 듯합니다. 그렇죠. 15년 후 저는 제 자식들이 갈 수 있다고 한들, 의대에 보내야 하는 것인지 늘 고민이 많습니다.

출생아수가 줄어들고 법적으로 보호가 안되는 현재의 인프라하에서 분만하는 의사의 수는 많이 줄었습니다. 그리고 270명씩 뽑던 산부인과 의사 전공의도 110~130명으로 50% 감소되었습니다. 산부인과 전문의수 증가속도가 아주 늦어졌습니다. 전망자체는 나빠보이지 않습니다. 특히 수술을 좋아하는 여자의사라면 1번으로 선택해볼 수 있는 과라고 생각합니다. 진료 핵심 분야를 무엇으로 할 지는 늘 고민하고 있습니다.

사업을 시작하는 입장에서 어떤 전략을 수립해야하는지를 정하는 것은 초보인 저에겐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까다롭고 Delicate하고 즉흥적인 MZ 세대, 그리고 그보다 훨씬 더 숫자가 감소한 2010~2020년생, 그리고 2020년 이후 출생한 세대. 그리고 베이비부머 시대에 태어나시고 기대수명 85세를 살고 계신 세대 분들. 

다들 어떤 전략을 세우고 계신가요? 10년 후 한국은 어떨까요? 10년 후 세계는 어떨까요? 20년 후 한국은요? 잘 모르는 초보가 여쭙습니다. 

♡를 눌러주시면 블로그를 작성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로그인이 필요없어요.

이 블로그 인기글